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베타 지수의 발표일과 지수 데이터 시작일을 구별해서 살펴보아야 합니다.
지수 데이터 시작일은 지수 발표일보다 몇 년 과거입니다.
스마트베타 지수 발표일 조금 전에, 그 지수의 전략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러 전략들을 과거 주가 데이터로 시뮬레이션 해봐서 성과가 좋은 전략들이 지수로 발표되는 것이죠.
지수의 과거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가 제공되는 첫 날짜가 지수 데이터 시작일입니다.
지수 데이터 시작일부터 지수 발표일 사이의 지수는
과거 주가 데이터로 시뮬레이션한 결과일 뿐이니 검증 기간으로 볼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 배당성장 50 지수는 2014-10-27일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지수 데이터의 시작일은 2009-07-01일입니다.
따라서 2009-07-01 ~ 2014-10-27 사이의 데이터는 과거 주가로 시뮬레이션한 데이터죠.
TIGER 배당성장 50 ETF는 2014-12-12 일 상장되었고요.
- - -
여러 나라 증시에서 몇십년의 오랜 기간에서 검증된 전략은 low volatility 전략입니다.
그런데 최근 코스피에서 low vol 전략 포함 대부분의 스마트 베타 전략의 성과가
몇 년 동안 지지부진 하군요.
스마트 베타 잔략들의 지지부짐함이,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고, 곧 장기 상승 추세에 복귀할 것인지,
아니면 새 추세의 시작인지....
'재테크 > 스크랩(오리아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200내재가치(KODEX 내재가치) vs FnGuideLowVol(TIGER 로우볼) 데이터 비교 (0) | 2016.08.20 |
---|---|
합성 ETF란 무엇인가? (1) | 2016.07.13 |
아리랑(ARIRANG) 스마트베타 4종 결합 ETF (0) | 2016.07.13 |
국내 주식형 스마트베타 ETF 수익률 상위 9개 종목 (0) | 2016.07.13 |
주식형 ETF들의 배당금 정리표 (0) | 2016.07.12 |
KODEX 스마트 전략 주식형 ETF 비교 : 모멘텀PLUS, 밸류PLUS, 퀄리티PLUS (2) | 2016.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