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현재의 주당순자산가치를 확인한다
현재의 주당 순자산가치 = 자본총계 ÷ 총발행주식수
= 자본총계 ÷ 자본금 X 액면가
2. 미래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ROE 수익률을 예측한다
- 최근 3년간 ROE 평균을 10년간의 예상 ROE 수치의 기준으로 사용
(1) 과거 ROE 추이가 일정수준을 유지하거나 증가한 경우에 한함
(2) ROE 추이가 감소하고 있다면 충분히 보수적인 수치를 적용하거나 투자대상에서 제외
(3) ROE 추이 확인하려면 최근 3년 ROE 평균이 5년 ROE 평균보다 낮아지지 않았는지,
그리고 이들이 10년 ROE 평균보다 낮아지지 않았는지 체크한다
(4) 10년 평균보다 3년 평균이 낮아졌다면 어느정도 추이를 구려한 보수적 수치를 적용한다
3. 현재 주당순자산가치에서 예상 ROE를 적용해 미래 주당순자산가치를 예측한다
- 현재 주당순자산가치에서 예상 ROE 적용해 미래 순자산가치를 산정한다
10년후 주당순자산가치 = 현재주당순자산가치 X (1 + 예상 ROE)^10
4-A. 현재의 주가를 대입해 기대수익률을 산정한다
산정된 기대수익률이 연 목표수익률을 초과하면 매수한다
- 현재의 주가를 대입하면 매년 몇 %의 수익률로 가격이 상승해야 10년뒤 원리금이 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ex) 예상순자산가치/예상주가 : 25,937원, 현재 주가 : 8,000원
12%복리로 계산 : 8000 X (1+0.12)^10 = 24,847원
13%복리로 계산 : 8000 X (1+0.13)^10 = 27,157원
= 미래 순자산가치 25,937원이 두 값 중간정도에 위치하므로 약 12.5%가 기대 수익률
4-B. 정해진 목표수익률 달성을 위한 매수 가능 주가를 산정한다
- 앞의 2단계에서 구한 미래가치를 연 목표수익률로 할인해 투자가능 가격으로 저하는 방식이다
- 목표수익률이 15%인 경우 산정된 미래가치 25,937원인 이 주식을 연 목표수익률 15%로 10년간 할인한 값
6,411원 [25,937÷(1+0.15)^10] 보다 같거나 낮은 가격에 매입한다
*투자 가능 가격 = 미래가치 ÷ (1 + 연 목표수익률)^가상만기
'재테크 > 주식,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이 말하는 소신파 투자자 (0) | 2016.07.29 |
---|---|
가치투자 주식 종목 선정 팁 (0) | 2016.07.29 |
다우 대비 금값 비율 DGR(Dow/Gold ratio)로 살펴보는 다우지수 평가방법 (0) | 2016.07.29 |
포켓몬GO 주식 테마주 정리 (0) | 2016.07.22 |
[현명한 초보 투자자] 적정주가 산출방법(기업가치 산출방법) (2) | 2016.07.21 |
국내 주식형 배당 ETF 정리표 : 현금흐름 확보를 위한 노력 (2) | 2016.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