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9시 뉴스에 보도될 정도로, 요즘 금 투자가 유행인듯. 결론부터 말하자면 재테크 수단으로서 금은 위험하다고 생각됨.


미 연방준비은행 홈페이지의 그래프 도구를 이용하여 [링크] 금 가격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해보자



(1) 금 가격 그래프



달러로 표시한 금 가격 그래프이다. 2000년부터 많이 올랐다.


그런데 1970년대 달러의 가치는 지금과 많이 다르다. 물가를 고려해야 한다.



(2) 물가 조정 금 가격 그래프



물가를 고려한 금의 실질 가격 그래프이다. 1970년대 말에 시작된 폭등과 뒤를 이어 곧 폭락.


물가를 고려한 금의 실질 가격은 그때가 지금보다 더 높았었다.



(3) 금 가격과 실질 금리



붉은색 선은 물가 조정 금 가격. 파란색 선은 실질 금리 (미10년 국채 금리 - 소비자 물가 상승률, 눈금은 왼쪽)


파란선 즉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내려갈 때, 예외 없이 금 가격은 폭등하고 있고 실질 금리가 다시 플러스로 올라오면 금 가격은 폭락하고 있다. 


이 정도로 잘 일치하면, 금 가격 폭등 원인은 실질 금리 마이너스 때문이라고 결론을 내려도 무리가 없을 듯 하다.


위 그래프를 2010년 이후로 확대해서 그려보자.



(4) 금 가격과 실질 금리 - 2010년 이후로 확대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내려갈 때 금 가격이 폭등하고, 실질 금리가 다시 플러스로 올라오면 금 가격이 바로 폭락하고 있음이 최근의 데이터에서도 잘 드러난다.


아직 4월의 실질 금리는 알 수 없지만, 중국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저조하다는 뉴스가 발표되자 마자, 원자재 가격과 금 가격이 폭락하였다. 


원자재의 최대 수요처인 중국의 성장 둔화 → 원자재 가격 하락 → 미국 물가 상승률 하락 예상됨 → 실질 금리 상승 예상됨 → 금 가격 폭락.



(5) 금 가격과 달러 인덱스

 


붉은색 선은 물가 조정 금 가격. 파란색 선이 달러 인덱스


달러 인덱스와 금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2000년부터 시작된 금 가격 대세 상승은, 달러 인덱스 대세 하락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듯.


위 그래프를 2010년 이후로 확대해서 그려보자.



(6) 금 가격과 달러 인덱스 - 2010년 이후로 확대



역시 반대로 움직이고 있음이 잘 보이는 듯. 2000년부터 시작된 달러 인덱스 대세 하락은 마무리 단계가 아닐까 생각됨.



(7) 결론


달러 가치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 달러 인덱스와 실질 금리가 금 가격 결정 요인인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달러 가치 하락이 예상될 때 금에 투자할 테니까.


시나리오 1)


중국 성장 둔화 - 세계 경제 불황 - 원자재 가격 하락 - 물가 하락 - 이미 제로 금리에 가까워 금리는 더 내려가기 어렵고 - 실질 금리 상승 - 금 가격 수직 낙하  (확률은 낮지만 가능한 시나리오)


시나리오 2)


중국 성장 계속 - 원자재 가격 상승 - 물가 상승 - 중앙은행 양적완화 지속 - 금리 상승이 늦춰짐 - 실질 금리 마이너스로 폭락 - 엄청난 물가 상승 - 금 가격 수직 상승 - 하이퍼 인플레이션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생각됨)


시나리오 3)


중국 성장 계속 - 원자재 가격 상승 - 물가 상승 - 중앙은행 출구전략 시행 - 금리 상승 - 금 가격 대세 하락 (확률은 낮지만 가능한 시나리오)


시나리오 4)


최근 1~2년의 경제 상황이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금 가격도 그만그만 or 천천히 하락 (이 시나리오에 한 표)


Posted by 따람쥐
,